본문 바로가기

매일경제공부

(7)
생성형AI시대의 1인 기업가 솔로프러너 솔로프러너(Solopreneur)란? Solo(1인)+Entrepreneur(기업가)의 합성어로 1인 기업가라는 의미이다. 예전의 솔로프러너는 단순 1인 자영업자,1인 창업자를 뜻하는 말이었다면 현재 AI시대의 솔로프러너란 숙련된 기술자1인이 생성형 AI를 이용해 인간 대신 보조인력 역할을 수행하도록해 본인의 기업활동을 운영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솔로프러너 실리콘밸리의 최대화두 OpenAI사의 ChatGPT는 11월 30일 오늘 출시 1년째가 된다. ChatGPT-3.5모델은 출시 두 달 만에 이용자수 1억 명을 기록했고 4개월 만에 GPT-4 모델을 출시했다. OpenAI사는 ChatGPT에 대해 "인간의 수준을 가졌다"라고 평가했다. 생성형AI의 전 세계 시장규모는 24년 약 700조에 달할 것이..
슈링크플레이션 뜻과 정부대책 방안 - 신고 센터 운영 슈링크플레이션이란? 가격은 놔둔 채 양을 줄이는 것, 용량 축소등을 통한 편법 인상 '줄어들다'라는 뜻의 shrink와 '물가 상승'이라는 inflation의 합성어 패키지 다운사이징 package downsizing이라고도 불린다. 기업이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 비용상승으로 인해 기존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크기와 중량을 줄여 판매하는 방식 예를 들면 우리나라 스낵을 '질소과자'라고 부르는 것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에 대한 대응 방안 공정거래위원회는 한국 소비자원을 통해 관련 품목 73개의 가격정보를 수집, 실태 조사하여 12월 초에 발표할 예정 소비자단체등 간담회로 관련 실태조사등에 대한 현황 공유하고 의견 수렴 정부는 23일부터 '슈링크플레이션 신고센터' 운영하여 대국민 제보를 접수 소비자원 중심으..
탄소중립, 기업의 탄소배출량 범위 Scope 1 2 3, ESG경영과 DX연계 오늘의 경제신문 공부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이란? 기업이나 개인이 배출한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흡수량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zero)로 만든다는 것이다. 배출되는 탄소양 = 흡수되는 탄소량 탄소 순배출양이 zero 기업의 탄소배출량 범위 Scope ?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영역(Scope) 기준을 배출원에 따라 범위를 나누는 것이다. 스코프 1 (직접배출량) 기업이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자원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 스코프 2 (간접배출량) 기업이 구매하거나 취득해 사용한 전력, 열, 수도, 폐기물등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스코프 3 (간접배출량) 기업의 가치 사슬 전체에서 발생하지만 스코프 2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탄소배출량 기업 공시에서 가장 까다로운 Sco..
생성형 AI의 저작권 침해 논란과 최소한의 안전장치 워터마크 매일 경제 공부 오늘자 경제신문에서는영국에서 열린 주요 28개국 'AI 정상회의'에서 AI 부작용을 막기 위해 워터마크 도입 논의 생성형 AI 사업자에게 이용자 보호를 위해 가시적 워터마크 도입 권고 워터마크란? 동영상, 사진, 문서, 온라인 법률 계약서, 전자책등에 저작자등을 밝히기 위해 삽입된 로고나 이미지 기밀문서의 정보를 보호하고 유효성 표시하는 데 사용 워터마크의 유래 중세교회 시절 암호문에 새긴 투명한 글씨나 그림 오늘날에는 지폐의 위조여부 판별을 위해 불빛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숨겨진 그림 디지털 워터마크란? -유료 이미지 제공 사이트의 샘플 이미지에 처리된 워터마크 -번역물에 표시된 워터마크 -유튜브 동영상에 삽입된 워터마크 -중고거래사이트에 올린사진에 도용으로 인한 사기예방을 위해 삽입된..
HBM(High Bandwidth Memory)고 대역폭 메모리 반도체, 5세대 HBM3E 오늘 경제 신문 보기 SK 하이닉스에서 설비투자(CAPEX)로 10조 원가량을 편성했다고 한다. 반도체 해빙기에 선제 대응하고 생성형 AI 시장규모가 커짐에 따라 필요로 하는 GPU 수요와 함께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는 HBM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이어가기 위해 설비투자를 진행한다고 했다. HBM(High Bandwidth Memory)고 대역폭 메모리 반도체란? HBM(고 대역폭 메모리)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정보 전달 거리를 줄여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1세대 HBM 2세대 HBM2 3세대 HBM2E 4세대 HBM3 5세대 HBM3E (삼성전자 5세대 '샤인볼트'는 최대 1.2TB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 양산 예정) 삼성전자의 생성..
인공지능(AI)의 진화된 생성형 AI, 삼성 가우스(Gauss) 생성형 AI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 기존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기술 창의적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인간의 행동, 사고 과정, 창의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기존 데이터를 단순 가공하거나 분석하는 것을 넘어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생성하는 AI 생성형 AI 방식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방식 -기기자체 내 작업을 수행하는 온 디바이스 방식 삼성 자체 개발 생성형 AI '가우스' '가우스'는 정규분포 이론을 정립한 천재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로부터 영감을 얻은 생성형 AI 온 디바이스 방식의 생성형 AI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방식에 비해 통신 환경에 따른 제약이 적고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없음 머신 러닝 기술 기반의 3가지 모델로 구성 1. 텍스..
한국, 환율관찰대상국에서 제외 무역촉진법 2015 1974년 무역법을 수정한 법률로 '교역 촉진법'이라고도 한다. 미국에 대해 무역 흑자를 많이 내고 있는 나라들에 대한 제재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환율관찰대상국 지정 기준 1.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 초과 2. 경상흑자 국내총생산(GDP) 3% 초과 3. 연간 달러 순매수 GDP 대비 2% 초과 또는 12개월 중 8개월 이상 달러 순매수 3번 기준에 충족하면 관찰대상국, 1,2,3번 모두 충족하면 심층분석국 심층분석국이 되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고 미국 기업 투자가 제한된다. 그래서 평가 대상국들은 미국의 환율 감시망을 신경 쓸 수밖에 없다. 환율관찰대상국 미국은 자국을 상대로 무역을 하면서 돈을 많이 벌거나 환율 안정에 개입하는 정도가 특정 수준을 넘어서는 나라를 압박하..